비구조화 할당이란? 객체 안에 있는 값을 추출해서 변수 혹은 상수로 바로 선언 해줄 수 있는 것. 또한 함수의 파라미터에도 비구조화 할당을 할 수 있다. const test = { a : 1, b : 2 }; const {a , b} = test; console.log(a); // 1 console.log(b); // 2 ////////////// const object = { a : 1, b : 2 }; function print({a , b}) { console.log(a); console.log(b); } print(object) 함수에 전달을 할 때 object에 b값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출력을 할 때 undefined가 나타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b 값에 기본 값을 주고 싶다면 c++에서 기..
Hello1(); //선언적 function function Hello1() { console.log('hello1'); } Hello1(); 선언적 함수는 Hello1의 선언 위치와는 상관 없이 사용을 해도 오류가 나지 않는다. hello2(); //익명 함수 var hello2 = function() { console.log('hello2'); } //이러한 오류가 뜨게 된다. TypeError: hello2 is not a function var hello2 변수에 function이라는 객체를 생성을 했다. 그리고 이 함수를 실행하는 곳 위치를 보면 선언보다 위에서 실행을 하고 있다. 이렇게 할 경우에는 TypeError가 뜨게 됩니다. 끌어올림 현상(호이스팅)으로 hello2가 뭔지는 알지만 함수..
global.a = 0; { const a = 1; const test = new Function('return a'); console.log(test()); } { const a = 2; const test = function() { return a; }; console.log(test()); } new Function을 통해서 함수를 만들게 되면 코드블럭 안에 있는 const a =1의 값을 return 하는 것이 아니라 전역적으로 선언 되어있는 global.a를 return을 하게 된다. 반면에 그냥 function으로 만든 함수를 실행하게 되면 코드블럭 안에서 만들어준 const a = 2의 값을 리턴을 해줍니다. 필요에 따라서 사용을 하면 되겠지만 내 생각에는 new Function을 사용하는 ..
const dong = { name : '멍멍이', age : 2, cute : true, sample : { a: 1, b: 2, } }; console.log(dog.name); === 멍멍이 console.log(dong.age); === 2 name과 age는 키라고 한다. 공백이 있으면 안된다. 대신 ''이걸로 감싸주면 된다. 비구조화 할당 = 객체 구조분해 객체에서 특정 값들을 추출해내는 것 const ironMan = { name : '토니 스타크', actor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alias : '아이언맨' }; const {name} = ironMan; console.log(name); function print(hero){ const { alias, name, actor } =..
조건문 특수한 상황에 특정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다. const a = 1; if(a + 1 === 2) { console.log('a + 1 이 2입니다.'); } else if(a === 10){ console.log('10 입니다'); } else{ console.log('a는' + a + '입니다.'); } const device = 'iphone'; switch(device){ case 'iphone': console.log('아이폰!'); break; case 'ipad': console.log('아이패드!'); break; default: console.log('등록된 기기가 아닙니다'); }
= : 대입 연산자 value에 1이라는 값을 넣겠다. +,-,/,* : 산술 연산자, 사칙연산 등 console.log(++value) : value의 값을 출력하는 시점에 더하면서 출력을 한다. 전위연산자 cosnole.log(value++) : value의 값을 출력하는 시점에 더하지 않고 출력을 하고 더해준다. 후위연산자 논리 연산자 NOT ! 특정 boolean을 반전시켜준다 (!true : false) AND && 양 옆의 조건이 true일 때 true로 실행 (true && true : true) OR || 하나의 조건만 true여도 true로 실행 (true || false : false) 논리 연산자의 순서 NOT -> AND -> OR 비교 연산자 == 와 ===의 차이점 == : 데이..
변수는 바뀔 수 있는 값을 말하고 상수는 바뀌지 않는 값을 말합니다. 새로운 변수나 상수를 선언할 때는 변수명이 겹치지 않게 해야 합니다. let value = 1; let value = 2; /* 이렇게 하면 안된다*/ const test = 1; const test = 2; /* 이렇게 하면 안된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let을 사용을 하고 상수를 선언할 때는 const를 사용을 합니다. 제가 여태까지 봤던 유튜브 강좌에서나 다른 어디에서든 변수를 사용을 할 때 var키워드를 많이 사용을 했었는데 이 온라인 강의는 var키워드가 예전에만 사용하던 거라 요새는 사용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var 키워드 예전에 사용하던 것 let과 사용범위가 다르다 똑같은 변수명으로 선언해도 사용이 가능하다 구형 브..
- Total
- Today
- Yesterday
- 글로
- Link
- visual studio code
- css
- 차이점
- PHP&MySQL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C언어
- 알고리즘
- 문자열
- php
- 동영상을
- 생활코딩#동영상을#글로#html
- 생활코딩#MySQL
- 선택자
- 객체
- 언리얼엔진4
- 생활코딩
- 관계형데이터베이스
- GRID
- HTML
- javascript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언리얼엔진
- 변수
- inline
- 기초
- TAG
- 조건문
- 정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