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ML에는 기본적으로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가 존재를 합니다. 블록이 뭐다~ 인라인이 뭐다~ 대충 들어보기만 했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아보고 싶어서 검색을 하고 공부를 해봤습니다. 블록요소에는 대표적으로 DIV, H1, P 태그가 있습니다. 인라인 요소에는 span, img 태그 들이 있습니다. 이 개념 자체는 굉장히 오래전부터 있던 것이고 지금 완벽하게 사용이 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 개념을 모르면 HTML과 CSS를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 저도 웹페이지를 현재 만들면서 공부를 하는 중이라 이미지를 넣고, 네비게이션 바를 넣고 하는 것에 있어서 이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를 정확하게 알고 코드를 작성을 하는 것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블록 요소의 특성들 1. 사용가능한 ..
저는 head부분을 작성을 할 때 주로 그냥 charset과 title만 작성을 해줬는데 다른 것도 있다고 해서 검색을 해봤다. meta에서는 각 속성마다 사용할 수 있는 속성과 값이 정해져 있고 어떤 속성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을 할 수가 없는지 구분을 해야합니다. 물론 암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속성 의미 값 charset 문자인코딩 방식 UTF-8, EUC-KR 등.. name 검색엔진 등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의 종류(메타 데이터) author, description, keywords, viewport등.. content name이나 http-equiv 속성의 값을 제공 그리고 아직 배우지 않은 전역속성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나중에 필요할 때 공부를 해서 또 글을 작성을 해야겠다. 다음으로는 Sc..

코드를 짜다보면 불편하다고 느끼는 것 중 하나가 줄을 맞춰주는거 아닐까요? 짜다가 중간에 필요없다고 생각되서 지우면 하나 하나 다 지워주는거 엄청 불편하지 않나요.. 그래서 이번에 확장자를 하나 가져왔습니다 바로 Beautify라는 확장자 입니다. 확장자를 추가하는 방법은 이전글에 있으니 그 방법대로 검색을 한 후 인스톨을 해줍시다. 이 확장자를 사용을 하기 위해선 단축키를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 바로 가기 키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의 목록이 뜨게 됩니다. 이중에서 설치한 확장자를 단축키로 설치하려면 Beautify를 설치한 화면으로 돌아가서 기여라는 것을 클릭해주세요(모르시겠으면 맨 위의 사진 참조) 명령 2개 중에 HookyQR.beautify에 단축키를 지정을 해줄 것입니..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를 처음에 다운을 받으면 영어라 사용성이 살짝은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를 확장 기능을 통해 한글..
웹 표준(Web Standard) 웹에서 사용되는 표준기술(HTML,CSS)이나 규칙을 의미하며 W3C에서 나온 기술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W3C는 표준화 단체 및 기관입니다. 이 표준 기술들을 기반으로 웹 브라우저(크롬, IE, 사파리 등)이 만들어집니다. 만드는 업체에서 표준기술을 해석하는 차이 및 새로운 기술을 삽입해서 조금은 다르게 구동되는 브라우저가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홈페이지를 만들었는데 각각의 브라우저에 따라서 다르게 보일 수가 있습니다.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 위에서 말한대로 조금은 여러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사용자 경험(같은 화면, 같은 동작)을 줄 수 있게 제작하는 기술, 방법 등을 말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최대한 웹 표준을 준수해서 제..
왜 3가지로 나누어져 있을까?? 한가지로 만들면 편하지 않을까?? 이 3가지의 언어들은 각각의 역할이 다 있습니다 그 역할의 충실해서 사용을 해야 괜찮은 구조와 디자인, 기능을 가진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HTM(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은 페이지에 제목, 문단, 표, 이미지, 동영상 등을 정의를 합니다. 이 부분에 이미지가 들어가고 이 부분엔 동영상이 들어간다 이런걸 정의를 하는 것입니다. HTML은 정적 언어로 웹의 구조를 담당을 합니다. 그래서 이 HTML로 화면을 예쁘게 만들려고 시도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일종의 뼈대, 즉 온전히 튼튼한 구조(Semantic)를 만드는 것입니다. CSS(Cascading Style Sheets) CSS는 마크업 언어(HTML..
- Total
- Today
- Yesterday
- 동영상을
- 언리얼엔진4
- C언어
- visual studio code
- 차이점
- GRID
- php
- 알고리즘
- HTML
- css
- 생활코딩#MySQL
- 객체
- 글로
- Link
- 조건문
- 변수
- 정렬
- 관계형데이터베이스
- 기초
- 문자열
- 생활코딩#동영상을#글로#html
- TAG
- javascript
- 선택자
- PHP&MySQL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생활코딩
- inline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언리얼엔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