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가 서버와 통신을 하는 과정 (1)
이 글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를 내가 이해하기 쉽게, 번역 말투를 조금 없앤 글이다. 아래 내용은 챕터 1의 스토리 1에 해당한다. 이 과정의 출발점은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거나, 네이버 검색창에 검색을 하거나부터 시작이 된다. URL? URL이 무엇일까?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줄임말로 일반적으로 브라우저에서 봤을 때 http://로 시작을 한다. http는 일종의 프로토콜로 개념은 아래에서 설명을 할 것이고, 프로토콜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프로토콜은 어떤 상대와 통신을 할 때 이 통신을 어떻게 진행할지 규칙을 정한 것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정말 쉽게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해보자면 편의점에서 물건을 살 때, 살 물건을 캐셔에게 가져다 주면 캐셔가 ..
네트워크
2022. 1. 16. 18:5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문자열
- 객체
- C언어
- inline
- 생활코딩#MySQL
- 선택자
- 언리얼엔진4
- 글로
- visual studio code
- 관계형데이터베이스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조건문
- 생활코딩
- TAG
- 기초
- HTML
- 변수
- PHP&MySQL
- 생활코딩#동영상을#글로#html
- 동영상을
- css
- 언리얼엔진
- 차이점
- Link
- javascript
- 정렬
- GRID
- ph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