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데이터 타입 - 문자열과 숫자
문자열(String)과 숫자(Number)의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아무 사이트에서 검사를 켜봅시다.
검사 안에서 Console을 찾아서 눌러줍시다. 여기서 이제 숫자를 표현해보겠습니다.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선 그냥 숫자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너무 당연해보이지만 이것이 당연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입력을 해봅시다. 입력을 하면 창이 뜨면서 숫자 1이 뜨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테스트를 할 때마다 alert를 계속 치는 것과 그 창을 끄는 것이 귀찮을 수 있습니다.
그럴 땐 아래 와 같이 해주세요.
1+1를 입력을 했더니 아무런 창도 뜨지 않고 결과가 보이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숫자, number라는 데이터 타입에서 아주 중요한 것은 연산입니다.
이 더하기는 왼쪽에 있는 값과 오른쪽에 있는 값을 더해서 하나의 값을 만든다 라는 점에서 이항 연산자라고 불립니다.
이항 연산자 중에서도 산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산술 연산자라고 부릅니다.
또 다른 산술 연산자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사칙연산만 알아보겠습니다.
이렇게 숫자라고 하는 데이터 타입이 어떻게 표현되는가와 또 숫자와 숫자를 연산해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
산술 연산자 4개를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문자라는 데이터 타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는 " 로 시작을 해서 " 으로 끝나면 됩니다. 작은 따옴표로도 가능합니다. 대신 끝내는 걸 작은 따옴표로
끝내야 합니다.
숫자 데이터 타입에서 중요한 것은 산술 연산자입니다.
문자열에서는 아주 유용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여기 있는 글자가 몇 글자로 되어 있는지도 알아낼 수가 있습니다.
문자에는 엄청나게 많은 기능이 있기 때문에 정리를 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 하다.
그래서 다른 기능들은 검색을 통해서 알아 봅시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String
String
String 전역 객체는 문자열(문자의 나열)의 생성자입니다.
developer.mozilla.org
이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엄청나게 많은 기능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이트가 좋은 점은 직접 입력을 하지 않아도 Run을 누르면 결과가 뜨게 되서 좋습니다.
이 Length라는 것을 Properties라고 부르는데 아직 이 글에서는 설명을 적지 않겠습니다.
여러가지 Method가 있는데 그 중에 하나를 사용을 해보겠습니다.
소문자인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꿔주는 toUpperCase를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다른 것도 한번 더 살펴보겠습니다.
알파벳 'o'가 4번째에서 나오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번엔 World를 한번 적어보겠습니다.
World라는 문자열이 6번째에서 시작된다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문자열에서 생기는 공백을 사라지게 해주는 Method도 있습니다.
이해하는 것보다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것을 생각하시고 나중에 이론을 공부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들
기회가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사칙연산 중 +를 문자열에 사용을 하냐 숫자에 사용을 하냐에 따라서 결과가 많이 달라지게 됩니다.